2023학사일정

      DONGBANG SCHEDULE

      05
      • 05.15(월)~06.30(금)
        학위청구논문 심사
      학사일정 더보기 +

      02)3668-9800 admin@dongbang.ac.kr

      학교대표전화 상담시간 09:00~18:00

        상담심리전공(명상상담, 초월영성)

        명상상담

        교과목이수가이드
        1 (실습) 명상상담(冥想相談)
        Meditation Counseling 자격증
        명상과 현대 상담이론을 접목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고, 특히 내담자의 고통, 증상의원인, 개입에 의한 고통의 소멸, 고통을 소멸로 이끄는 접근 방법을 유식상담과 연결하여 고집멸도의 과정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2 수용전념치료(受容專念治療)
        AC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자격증
        기존의 인지치료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명상에 기초한 수용과 전념치료의프로그램을 학습하고 익힌다.
        3 명상심리학(念止觀冥想)
        Mindfulness Psychology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불교심리학의 기본적인 인식론과 연기관법, 오온설등을 현대 심리학과 연결시켜서 이해하여, 염지관명상과 상담의 기초적인 이론과 관점을 확립하는데 목표를 둔다.
        4 변증법적 행동치료(辨證法的行動治療)
        DBT, Dialectic Behavior Therapy
        명상에 기초한 변증법적인 행동치료의 이론적인 기초와 더불어서 프로그램을 익힌다. 특히 명상수행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대인관계나 감정적인 측면을 감내하고 행동수정의 방식을 고찰한다.
        5 (실습) 유식심리학과 영상관법(唯識心理學과 影像觀法)
        Only Mind Psychology 자격증
        유식불교의 기본적인 철학과 그것이 가지는 마음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현대 심리학과 비교함으로써, 명상과상담에서유식불교적인입장을확립한다. 유식불교의 명상수행인영상관법의 이론적인 기초를 다시 확립하고 다양한 방식의 영상관법을 실습하여 익힌다. 특히명상치료지도자로서그과정과절차를훈련한다.
        6 자아초월간화선(看話禪)
        Ganwha Meditation 자격증
        심리학의 각 학파의 이론적인 특징을 간단하게 알아보고, 최근에 대두되는 자아 초월 심리학의 대두 배경과 경향을 연구하여 간화선 명상과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7 사례연구방법론
        Case Study Research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상담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사례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8 심리평가와 측정(心理評價와 測定)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Psychometry
        심리평가는 면접, 행동평가, 심리검사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한 개인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특히심리검사는여러다양한정보를객관적으로제공해주므로, 임상적진단의명료화, 치료효과의 측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심리평가를 실시하는 과정과 주요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9 (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명상과 상담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예비연구를 통한 프로그램의 평가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학습한다. 기존의 명상상담 과정과 상담기법들을 연구하여 현장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10 집단상담(자격증)(集團相談)
        Group Therapy
        개인 상담과 다른 집단상담의 기본 원리와 특징, 그리고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 근거를 둔 여러 유형의 상담에 대해서 익히고, 이를 실제 장면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한다.
        11 인지행동치료(現代行動治療)
        Contemporary Cognitive-Behavior Therapy 자격증
        인지행동치료의 원리와 역사를 개관하고, 인지행동치료의 절차, 인지 평가, 인지모델, 행동평가, 토큰경제, 노출치료, 모델링, 사회기술훈련을 이해하고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습을 겸한다.
        12 심상을 활용한 인지치료
        Imagery in Cognitive Therapy
        현대에서 발전한 심상을 활용한 인지행동치료의 이론과 다양한 기법을 익히고, 특히 심상의 이론적인 실험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관련된 노출상담에 초점을 맞춘다.
        13 (실습) 명상과 통합된 인지행동치료
        MiCBT, Mindfulness Integrated Cognitive Therapy 자격증
        인지치료의 최근의 동향은 명상과의 결합이다. 이점을 인지치료의 발전과정에서 이해하고, 명상과 인지치료의 결합하는 방식으로 MBCT을 탐색하여 명상치료의 인지치료적인 방식을 이해한다. 실습으로는 인지치료의 논박과 소크라테식 문답을 명상과 통합한 리다명상을 연습한다.
        14 (실습) 상담의 이론과 실제(자격증)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서구에서 발달된 상담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고 상담의 과정과 상담기법들을 연구하여 효과적인 상담의 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다양한 학파의 상담이론의 이론과 기술들을 익힌다. 실제 상담 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사용되는지 실습을 목표로 한다.
        15 사이코드라마(자격증)
        Comprehension of Psychodrama
        가족세우기 심리극의 이론과 주인공 경험을 통해 심리극의 기본적인과정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심리극의 디렉팅 원리를 안내하고 심리극을 직접 디렉팅 하도록 함으로써 심리극의 실제를 학습한다.
        16 내러티브 연구
        Narrative Study
        내러티브 연구는 이야기를 기술하고 다시 이야기함을 통해서, 선행연구를 통해서 이해하고, 그렇게 기술한 텍스트를 만들어낸다. 연구자가 만들어낸 텍스트에 대해서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것, 순서대로배열하기, 줄거리 찾기, 주제 찾기, 경험 기술하기 등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내러티브 기술을 익힌다.
        17 현상학적 연구
        henomenology Research of Meditation Therapy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이해하고, 명상과 심리치료의 통합하는 실습으로, 명상법이 심리치료나 상담에서 활용되는 구체적인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이해하고, 사례연구를 통해서 구체적인 기법을 익힌다.
        18 고급 이상심리학
        Advanced Clinical Psychology
        임상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심리적인 장애를 살펴보고 증상의 발생, 원인, 치료의 방식들을 각학파별로 비교하여 연구한다. 특히 명상치료의 다양한 임상적인 적용을 연구한다.

        초월영성상담

        교과목이수가이드
        1 (실습)상담이론(자격증)
        Counseling Theory
        상담심리치료의 주요 학파들의 특징들을 각 이론의 기본 개념, 역사, 발단, 현 상태, 성격이론, 심리치료이론, 심리치료과정, 심리치료 기제, 적용 및 사례연구 등의 구분으로 개관하여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상담특강(자격증)
        Special lecture on counseling
        상담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다양한 접근들을 다루면서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탐색한다.
        3 상담연구세미나(자격증)
        Counseling Study Seminar
        상담학 연구에서 명료한 실험결과를 얻기 위한 각종 실험설계방안들과 자료 분석 방법들 그리고 질적 연구의 논리 및 주요 연구 기법을 학습함으로써 연구에 대한 이해력과 연구수행 능력을 함양하여 학술지 논문과 졸업논문을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기초를 학습한다.
        4 (실습)심리검사(자격증)
        Psychological Test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의 정신장애와 적응문제를 검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심리검사에 필요한 검사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활용을 학습한다.
        5 (실습)성격심리학(자격증)
        Personality Psychology
        성격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특성적, 사회학습적, 정신분석학적, 현상학적 접근 등)을 다루면서 성격 형성과정을 탐색한다.
        6 (실습)집단상담(자격증)
        Group Counseling
        집단의 리더가 집단을 상담하는 지침과 윤리적, 전문적 지침 등을 이론과 실제를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 초월영성상담(자격증)
        Transpersonal Spirituality Counseling
        현대상담 및 심리치료를 근간으로 하고, 초월의식에 근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연습들을 실제로 해 본다. 기본적인 자기탐색, 부정에너지의 변형, 자유로운 주의전환, 자각 능력의 확대, 의식의 확장, 자비심과 감사능력 증대, 순수의식에 근접하는 자유연습, 감상(appreciation)능력 증대, 자기긍정 및 자존감 증진 등.
        8 초월심리학(자격증)
        Transpersonal Psychology
        인간심리에 영적 영역을 포함하고 종래 서로 상이해 보였던 주요 심리학 및 심리치료이론들을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통합하며, 인본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새롭게 등장한 제 4 심리학인 초월심리학과 보다 통합되고 진보된 패러다임의 상담이론을 학습한다.
        9 이상심리학
        Abnormal Psychology 자격증
        인간의 고통과 불행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연구하며, 마음속에 잠복해 있는 불행의 씨앗을 밝히는 학문이다. 자신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이상심리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독특한 성격과 심리를 잘 이해하도록 돕고자 한다.
        10 상담윤리와 철학
        Philosophy and Ethics in Counseling 자격증
        상담의 철학적 근거와 윤리 원칙들을 다루어 봄으로써 상담자의 윤리의식을 함양하고, 상담현장에서 내담자를 보호하고 법적으로 상담자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돕는다.
        11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자격증
        최근의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이로 인한 직업세계의 변화 등은 아동과 청소년, 대학생들, 퇴직 후 제2의 직업의 진로선택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바른 진로상담은 방향감을 잡아 줄 수 있다. 아울러 진로의식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진로발달 수준에 맞는 진로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강좌는 자신의 장래를 희망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준비하도록 도울 수 있는 진로상담이론과 기법을 학습하여 진로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터득하게 한다.
        12 아유르베다 상담의 이론과 실제Ⅰ
        Theory and Practice of Ayurveda Counseling 자격증
        고대 인도의 자연 의학인 아유르베다의 철학과 체질의 원리를 이해하고 상담 장면에서의 활용을 위한 실제를 배운다.
        13 (실습) 아유르베다 상담의 이론과 실제Ⅱ
        Theory and Practice of Ayurveda Counseling 자격증
        고대 인도의 자연 의학인 아유르베다의 치유원리를 이해하고 치유 기법들을 익히며 실제 임상장면에서 활용을 위한 실습을 한다.
        14 (실습) 집단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Program of Group Counseling
        집단상담의 다양한 이론과 운영형태 및 실제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목표로 한다.
        15 가족 상담
        Family Counseling
        가족상담에 관한 최근 이론과 경험적 연구 및 교육방법 문제를 선택하여 이에 대해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시대적 요구에 맞춰 가족체계에 대한 이해와 가족상담, 부부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16 발달심리학(發達心理學)
        Developmental Psychology
        인간의 각 발달의 단계를 연구한다. 태내기부터 노년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서 각 단계별로 나타나는 인지 및 정서, 행동의 발달과정과 특징을 다룬다. 발달심리학의 이론과 방법, 연구동향을 포함하는 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과 인간의 심리적 특성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인간발달의 기저로서 다루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 초월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초월심리학의 이론을 섭렵하고 초월영성상담의 실제를 보다 높은 단계에서 경험함으로써 개인의 의식을 고양시키며, 초월상담의 실제를 지도할 수 있는 지도력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18 고급초월심리학
        Advanced TranspersonaL Psychology
        인간심리에 spirit 영역을 포함하고 종래 서로 상이해 보였던 주요 심리학 및 심리치료이론들을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통합하며, 초월영성상담의 실제를 보다 높은 단계에서 경험함으로써 개인의 의식을 고양시키며, 초월상담의 실제를 지도할 수 있는 지도력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산림치유

        교과목이수가이드
        1 산림치유학
        Forest healing
        산림의 다양한 기능중에서 치유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국가는 이미 법률적 제도를 통하여 산림치유를 전국민의 건강증진과 복지서비스로 발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산림치유란 과연 무엇인지 또한 산림치유의 원인이 되는 요소는 무엇인지 하나 하나 살펴보면서 숲이라는 자연환경을 치유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2 산림휴양학
        Forest Recreation
        산림휴양자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하여 이용객이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휴양 경험을 제공 할 수 있는 방안과 그 기술을 토론하고 실습 연구한다.
        3 산림생태학
        Forest ecology
        인간과 자연은 공동운명체로서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 숲이 파괴되면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도 보장되지 않을 것임은 자명한 사실 따라서 생태를 이해함으로서 21세기에는 금융이나 물품보다는 자연자원이 더 각광을 받으며 산림(숲)이 산업의 중심이 될것에 대비하며 연구한다.
        4 수목생리학
        Tree physiology
        산림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학문으로서 각 수목의 기관과 생장 패턴을 이해 함으로서 나무를 식별하고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익히며 각각의 생태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5 원예치료학
        Horticultural Therapy
        인간과 식물은 모두 생물임과 동시에 특히 우리 인간은 마음이라는 영역의 정서적 안정에 따른 건강증진은 물론 복잡 다양한 사회환경 속에서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문제를 해결하며 과학적인 실용가능 검증의 학문을 연구한다.
        6 산림치유프로그램 세미나 -
        7 약용식물학 본 교과내용은 의약 영역의 기초/인문 과목으로, 약용식물학에 대한 활용 및 성질 등에 대한 개념을 쉽게 풀이하여 설명하는 수업이다. 또한 약용식물의 본초학적 활용과 성질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관련된 전문가의 의견을 전달함으로써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도와서 약용식물의 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구성한다.
        8 산림경영학
        Forest management
        산림경영학은 산림을 조성하고 가꾸며 이용하고 보전하는 데 있어서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기술·과학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9 작물재배학
        crop cultivation
        재배학원론은 작물생산의 가장 기초적인 과학으로써 작물재배기술 및 작물의 성장환경, 품종의 특성 등 작물생산에 관한 기초이론을 상세히 설명하여  농업생산에 관련된 기초지식의 학문적 기본체계를 이해하고 농촌치유 및 농업관련분야 직무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본 토대를 제공한다.
        10 치유농업 특론
        Therapy agriculture
        치유농업은 농업소재 및 지원을 활용하여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든 농업활동을 의미한다. 특히 치유농업은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의학적·사회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치유하는 농업활동 연구이다.
        11 산림문화 특론
        Forest Culture Special Opinion
        산림문화자산 은 대한민국의 산림청장이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제29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14조의 2에 의거하여 유형산림문화자산으로 토지·숲·나무·건축물·목재제품·기록물 등 형체를 갖춘 것으로서 생태적·경관적·예술적·역사적·정서적·학술적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산림문화자산에서 부터 무형산림문화 자산까지 인류의 역사에서 산림의 출발과 역사 문화를 이해하며 산림을 이용하여 인류의 이상을 실현시켜 나아가는 정신활동의 한축을 연구를 한다.
        12 해양치유 특론
        Ocean Therapy
        국가정책에 의하여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갯벌, 소금, 해양심층수, 해조류 등 다양한 해양자원을 과학적으로 활용하여 체질개선, 면역력 향상, 항노화 등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 연구이다.
        13 생태적 삶 특론
        ecological life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 에너지고갈, 생태위기에 직면해 가고 있는 이때에 개인의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법에서 생태적인 삶을 연구한다.
        14 수목학 특론
        Specialty in arboretum
        수목학은 나무, 관목, 덩굴 식물 등의 나무 식물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종종 식물학과 혼동되나, 식물학은 일반적인 모든 종류의 식물을 다루는 학문인 반면 수목학은 나무 식물만을 대상으로 연구 한다.
        15 식물의 역사 세미나
        Seminar on Plant History
        생존과 번식을 위해 환경에 맞선 식물들의 장구한 도전기35억 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하여 살아남은 식물의 역사를 연구한다.
        16 나무의 치유력 특론
        Tree Therapy Specialties
        나무의 종류별 특성을 파악하며 인간의 건강증진에 필요한 나무의 치유인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한다.
        17 유기농업학
        organic agriculture
        유기농업개론은 퇴비와 외양간두엄 등 유기물을 주비료로 사용하며, 토양의 활력이 회복되면 작물 자체에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자연적으로 생기게 된다는 생각을 배경으로 화학비료, 유기합성 농약, 생장조정제, 제초제, 가축사료 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거나 줄이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업을 전체개론을 수업 한다.
        18 토양관리학
        soil management science
        토양관리학은 토양 생성의 기원이 되는 암석을 정리하고,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들을 설명함으로서 토양 오염과 침식으로부터 토양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들을 연구 및 학습 할 수 있다.

        자연치유전공(건강과학, 요가치유, 약용작물, 피부미용치유)

        건강과학

        교과목이수가이드
        1 바디워크
        Body Work
        인체를 접촉해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접촉기법이다. 인체의 촉감을 이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손상된 근육을 회복시키거나 혈액순환을 자극하여 전신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말하며, 반사요법, 마사지요법, 운동요법, 에너지 균형조절 등 다양한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신체의 발달에 따른 퇴행을 개선시키며,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바디워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2 해부생리학
        Anatomy & physiology
        해부생리학은 인체의 각 계통을 현상론적으로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서 특히 인체의 모양과 구조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이다. 일반생리, 혈액, 순환, 호흡, 소화, 운동, 감각, 자율신경, 뇌의 기능 등을 형태학적인 면과 생리학적인 면으로 나누어서 학습한다.
        3 임상운동학 특론
        Advanced Clinical Kinesiology
        움직임에 대한 연구를 운동학이라고 한다. 근골격계를 중심으로 정상과 비정상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다양한 훈련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4 임상모션테이핑 Ⅰ
        Motion Taping Ⅰ
        테이핑 요법(sports taping)은 일반적으로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나 붕대 등을 사용하여 신체의 해부학적인 특성과 운동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 부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감아주는 처치법이다. 모션테이핑 요법의 사용 방법을 습득하여 관절을 고정하고 골격 구조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와 근육을 압박하는 효과에 대하여 학습한다.
        5 임상모션테이핑 Ⅱ
        Motion Taping Ⅱ
        테이핑 요법(sports taping)은 일반적으로 접착성이 있는 테이프나 붕대 등을 사용하여 신체의 해부학적인 특성과 운동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 부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감아주는 처치법이다. 모션테이핑 요법의 사용 방법을 습득하여 관절을 고정하고 골격 구조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와 근육을 압박하는 효과에 대하여 학습한다.
        6 임상기능교정학 Ⅰ
        Functional adjustment procedure Ⅰ
        기능교정은 신체의 손이나 지체(肢體)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여 각종 동작과 특정한 방법으로 신체의 특정부위를 조작하는 방법을 말한다. 인체의 불균형을 조절하여 자세를 바로잡고,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적극적인 교정 방법에 대해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7 임상기능교정학 Ⅱ
        Functional adjustment procedure Ⅱ
        기능교정은 신체의 손이나 지체(肢體)의 다른 부분을 사용하여 각종 동작과 특정한 방법으로 신체의 특정부위를 조작하는 방법을 말한다. 기능교정 2는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적극적인 교정 방법뿐만 아니라, 질환별 교정 방법에 대해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8 도수요법동서비교
        Comparative research on Manual Therapy
        추나요법, 정골요법, 카이로프랙틱 등 도수요법의 동서의학적 명칭의 유래, 치료기법, 장단점 및 생성역사, 법률적 관계 등에 대하여 비교 연구
        9 카이로프랙틱기법 연구
        Advanced Research for Chiropractic Technique
        200종류 이상의 카이로프랙틱 기법에 대한 개요와 계통 및 계발역사 등에 대한 조사연구와 범용적인 기법에 대해서 심도있는 원리 분석을 연구한다.
        10 임상사례연구
        Clinical Case Study
        도수요법 적용 사례에 대한 임상적 결과와 과정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임상 적용 전후의 비교 및 사례에 대한 블라인드 테스트를 훈련한다.
        11 헬스치공
        Health Qigong
        헬스치공은 건신기공(健身氣功)이라고도 하며, 중국정부에서 정리한 표준 기공운동 프로그램이다. 4대 공법인 역근경(易筋經), 오금희(五禽戱), 육자결(六字決), 팔단금(八段錦)을 자연치유 관점에서 재학습하고 기공의 동작을 경혈, 경락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인체의 기의 흐름에 관하여 세부적인 학습을 한다. 또한 동양의학적 관점에서 건강을 치유하는 여러 동작과 공법(功法)에 대하여 학습한다.
        12 운동처방연구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각종 신체활동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펑가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법으로 운동실천 프로그램을 교수한다.
        13 스마트헬스케어
        Smart Healthcare
        건강관리 서비스 영역에서 과거에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개념이 존재를 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AI를 활용하여 과거보다 지능화되고 광범위한 영역에서 융합이 가능해졌다. 일반적으로 Digital Health Care, Mobile Health Care, e-Health 의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최근에 Smart Health Care 용어로 통일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범위에 따른 적용분야에 대해 연구한다.
        14 건강과학논문분석
        Health Science Thesis analysis
        본 교과목은 건강 문제를 거시적으로 보면서도 실제 생활에서 부딪치는 건강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논문분석 학습을 목표로 한다. 건강과학에 관련한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해 건강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연구 결과의 현장 적용성과 학문적 기여도에 대해 판단하고 해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15 진단분석도구연구
        Advanced Research for Analysis & Diagnostic Tool
        질환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규명하는 행위를 진단이라고 한다.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 영상진단, 촉진검사, 자세분석, 관절가동역검사, 근력검사 등의 도구에 대해 깊이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16 건강과학조사론
        Health Science Research
        본 교과목은 종 만성질환, 새롭게 되살아나고 있는 감염성질환, 심리적인 문제, 신체적성과 영양문제 등을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이해하는 과정에 대해 토론하고 학습한다. 건강 문제를 거시적으로 보면서도 건강에 관한 연구결과에 대해 판단하고 해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건강과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토론과 학습을 통해 연구계획서를 직접 작성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17 여가학연구
        Leisure Special Lecture
        여가(餘暇,leisure)란 그리스 시대에는 높은 진리를 추구하는 명상(contemplation)이라는 의미였고, 이후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잉여 시간, 레크리에이션, 휴양, 스포츠, 즐거움, 오락 등의 다양한 개념들과 연관이 있다. 여가특론에는 여가가 자유시간, 활동, 마음의 상태를 망라한 총체적인 의미 이상의 것이라는 것을 학습하고, 자연치유와 연계하여 사회과학적인 방향에서 학습한다.
        18 근골격계도도수요법 특론
        Advanced Manual Therapy for Musculoskeletal
        도수요법의 대상을 근육계와 골격계로 구분하여 전문적인 기법 연구에 중점을 두고 각종 요법의 특징을 파악하여 익혀보는 과정

        요가치유

        교과목이수가이드
        1 인도문화사(印度文化史)
        India cultural
        다양한 인도의 전통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인도의 힌두 신화적인 삶과 그 문화를 연구한다.
        2 요가학개론
        요가의 발생과 전개 과정, 다양한 형태의 요가, 철학 등 근 현대까지의 요가의 변천사를 연구한다.
        3 아사나이론과 실습Ⅰ(아사나理論과 實習 Ⅰ)
        Asana Theories and Practices
        아사나를 처음 접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경험자라 하더라도 아사나를 새로이 관점에서 조명해보는 실습과정이다.
        4 아사나이론과 실습 Ⅱ(아사나理論과 實習 Ⅱ)
        Asana Theories and Practices Ⅱ
        -
        5 아사나처방연구(아사나處方硏究)
        Asana Prescription Study
        해부구조학적 원리의 바탕으로 체형진단과 평상시의 자세와 습관들이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치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6 요가원전연구Ⅰ(요가原典硏究Ⅰ)
        Studies of Original Yoga TextⅠ
        다양한 요가의 경전(시바 삼히타, 바시스타 삼히타, 게란다 삼히타 등)들을 현대적 시각에 맞추어 심도 있게 연구 분석한다.
        7 요가원전연구Ⅱ(요가原典硏究Ⅱ)
        Studies of Original Yoga Text
        요가원전연구Ⅰ를 배경으로 경전의 의미를 심도 있게 연구한다.
        8 요가호흡법원리연구Ⅰ(요가呼吸法Ⅰ)
        Principle study of Yoga PranayamaⅠ
        다양한 요가 호흡의 기법들을(ujjayi, Surya Bbedana, Nadi sodhana) 실천 수행 하면서 그 방법론을 연구해본다.
        9 요가호흡법원리연구 Ⅱ(요가呼吸法 Ⅱ)
        Principle study of Yoga Pranayama Ⅱ
        다양한 요가 호흡의 기법들을(ujjayi, Surya Bbedana, Nadi sodhana) 실천 수행 하면서 그 방법론을 연구해본다.
        10 요가니드라
        Yoga Nidra
        요가 수련의 하나인 니드라 기법의 연구를 통하여 심신의 이완법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11 요가수트라 Ⅰ
        Yoga Sutra Ⅰ
        요가수트라는 빠딴잘리에 의하여 편집된 정통 요가의 교전이라 할 수 있으며 요가를 연구하고 수행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인 경전을 공부한다.
        12 요가수트라 Ⅱ
        Yoga Sutra Ⅱ
        요가수트라Ⅰ의 경전을 연계하여 그 의미를 연구한다.
        13 요가교수방법론(요가敎授方法論)
        Yoga Method of teaching
        다양한 아사나(자세)를 각 개인별 특성에 맞는 교수의 방법론과 지도자의 올바른 지도력 향상을 위한 방법을 연구해 본다.
        14 치유연구방법론 Ⅰ(治癒硏究方法論 Ⅰ)
        Therapeutic Research method Ⅰ
        요가 치유력의 향상과 그 방법론을 연구하며 치유대상에 맞는 맞춤형 치유방법들을 심화 연구한다.
        15 치유연구방법론Ⅱ(治癒硏究方法論 Ⅱ)
        Therapeutic Research method Ⅱ
        요가 치유력의 향상과 그 방법론을 연구하며 치유대상에 맞는 맞춤형 치유방법들을 심화 연구한다.
        16 요가응용치유학 Ⅰ
        Yoga TherapeuticsⅠ
        요가응용치유학을 기반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관찰을 통하여 요가치료의 기법을 연구한다.
        17 요가응용치유학 Ⅱ
        Yoga TherapeuticsⅡ
        요가응용치유학을 기반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관찰을 통하여 요가치료의 기법을 연구한다.
        18 하타요가
        Hatha Yoga
        하타요가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심신의 안정과 균형을 유지하는 기법과 철학적의미를 연구한다.

        약용작물

        교과목이수가이드
        1 (이론 및 실습) 자연요법
        Natural Therapy
        인체가 자연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국내외의 자연 친화적 자연요법에 관해 연구한다.
        2 (이론 및 실습) 경혈학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Meridianology
        인체의 생명현상인 경락(經絡)의 명칭과 선행부위 및 분포규율을 숙지하고 인체의 여러 경맥(經脈)에 존재하는 경혈(經穴)의 위치, 효능, 주의사항 등을 학습한다. 그리고 경락의 생리(生理)기능과 병리(病理) 변화 및 장부(臟腑)와의 상호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수기와 경락자극도구를 활용하여 인체의 경혈을 자극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연구한다.
        3 황제내경연구(黃帝內經硏究)
        The study on the HuangDiNeiJing
        황제내경 강독을 통해 인체의 구조, 인간의 생리와 병리, 진단, 치료원칙, 약물, 경락과 침구, 예방, 의학사상 등 동양의학의 원류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소문의 운기 7편에 나타난 운기학설과 영추의 경락이론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한다.
        4 자연요법연구방법론(自然療法 硏究方法論)
        Research methodology of natural therapy
        기본적인 문헌검색 방법, 연구방법의 종류, 자료 분석, 자료 수집, 결과 해석 및 평가, 논문작성법 등을 교수하며, 특히 자연요법 관련 논문을 통해 논문의 기획, 설계, 작성 등의 과정을 경험해 본다.
        5 황제내경특론(黃帝內經特論)
        Special Topics in HwangjeoNaegyeong
        동양 최고(最古)의 의학원전인 황제내경 강독을 통해 인체의 구조, 인간의 생리와 병리, 진단, 치료원칙, 약물, 경락과 침구, 예방, 의학사상 등 동양의 전통적인 의학 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6 상한론연구(傷寒論硏究)
        Study of Sanghanlon
        상한론은 동한(東漢)시기 장중경(張仲景)이 당시의 의학 이론과 풍부한 임상경험을 정리한 동양의학 최고의 임상의학 경전으로 외감병(外感病) 뿐만 아니라 내상잡병(內傷雜病)까지도 폭넓게 다루고 있다. 상한론 강독을 통해 육경병(六經病)의 규율과 이론, 치료방법, 처방, 약물의 활용에 이르는 변증론치(辨證論治)의 운용 능력을 제고한다.
        7 동의생리학(東醫生理學)
        Oriental Physiology
        五臟(오장) 중심의 整體觀(정체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六腑(육부), 經絡(경락), 氣血津液(기혈진액), 形體(형체), 官竅(관규) 등 상호간의 생리․병리적 특징에 대해서 연구한다.
        8 동의진단학(東醫診斷學)
        Diagnosis in Oriental Medicine
        동양의학의 진찰법인 四診(望診, 聞診, 問診, 切診)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질병의 원인, 경과, 예후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원칙과 이론 및 활용 방법을 교수한다.
        9 본초학특론(本草學特論)
        Advanced Herbalogy
        본초학의 기본 개념과 역사, 원리 등의 기초이론과 본초의 성미, 효능 및 임상에서의 배합(配合)원칙, 포제법(炮製法), 응용 방법, 주의 사항 등을 교수한다.
        10 약용작물처방학(藥用作物處方學)
        Prescription of Medicinal Crop
        변증론치를 원칙으로 병증에 대한 약용작물의 처방 구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배합의 원리, 주치, 효능, 작용기전 등을 학습하며, 약용작물의 특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11 (실습) 약차요법(藥茶療法)
        Herbal tea therapy
        약초를 차(茶)로 음용하여 간단한 질병의 예방과 치유를 하는 자연양생법 중의 하나이다. 실생활에서 약차(藥茶)를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약초의 조제, 선별법, 끓이는 법, 복용법, 효능 등을 교수한다.
        12 (실습) 양생기공론(養生氣功論)
        Theory of Preservation Health
        氣의 원류와 기본이론 및 기공과 연관된 문헌과 임상자료를 통해 최근의 양생기공 현황 을 파악하고 다양한 기공치유법과 건강증진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13 식이요법특론(食餌療法特論)
        Advanced Diet
        영양과 생리를 중심으로 한 치료식이의 원리를 이해하고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해 자연치유적 관점에서 새롭게 재해석해 본다. 그리고 질병을 개선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질환별 식이요법과 약선(藥膳)에 대해 살펴본다.
        14 신농본초경연구
        The study on the Shinnongbonchogyeong
        가장 오래된 藥物學書로서 신농본초경 혹은 本經이라고 약칭되고 있다. 신농본초경은 약물 365종을 上.中.下 三品으로 나누어 上品과 中品은 120종류씩이고 下品은 125종이다. 본서에서 밝히고 있는 藥物理論인 君臣佐使, 七精和合, 五味, 四氣 등의 이론과 약물의 별명, 성미, 주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5 비약물요법
        Nonpharmacological Therapy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비약물요법 및 생활 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자연물을 활용하여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증대시키는 자연요법과 민간요법에 관해서 연구한다.
        16 건강예측론
        The Theory of Health Forecasting
        인간은 하나의 완전한 유기체로, 구성하는 모든 부분이 서로 불가분의 관련이 있다. 이런 인체가 드러내는 각종 신호를 통해서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질병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에 관해 연구한다.
        17 금궤요략연구
        Research on Synopsis Golden Chamber
        상한론에서 미흡한 잡병(雜病)(내과·외과·소아·부인과 등)에 관한 생리(生理), 병리(病理), 치료(治療), 처방을 기술한 임상 의서이다. 원서 강독을 통해 자연치유에서 유용한 치료원칙과 처방을 연구한다.
        18 자연요법 원전연구
        Research on Classics of Natural Therapy
        자연치유에 근간이 되는 동양 원전을 강독하여 역대 자연요법의 사상과 특징 및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현재 자연치유 분야에서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내용에 관해 연구·토론 한다.

        피부미용

        교과목이수가이드
        1 피부생리 및 치유연구
        Research of Skin Physiology and Therapy
        피부생리 및 치유학 특론은 세포와 조직, 피부의 구조와 생리적 특성, 피부의 부속기관, 피부의 유형, 피부와 광선, 피부의 색소침착, 피부의 노화, 피부와 스트레스, 피부와 면역, 피부의 이상증세 및 생화학적 특성 등 피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을 통하여 인체 기관의 기능과 생리 대사를 촉진하여 질병의 예방과 치유를 통한 피부 건강 유지 등으로 구성된다.
        2 인체면역학 연구 
        Research of Human Immunology
        면역은 인체에 외부로부터 미생물이나 환경에서 들어오는 물질에 대한 몸의 방어수단이며, 자연치유의 근본적인 학문이다. 특히, 피부는 면역의 첫 관문이며, 또한 다양한 면역 반응이 표피에 나타나서 피부질환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체면역학 특론에서는 면역의 종류 및 특성, 항원과 항체, 보체, T-cell과 B-cell, 자가면역, 면역억제 등 인체의 면역기능 전반으로 구성된다.
        3 공중보건위생학 연구 
        Research of Public Health Hygienoloy
        지역사회의 체계적인 노력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생명의 연장, 신체적 및 정신적 보건, 건강을 증진시키며, 보건위생에 따른 미생물의 특성, 감염병의 종류와 특성, 예방, 그리고 특히, 미용산업 분야에 있어서 소독법과 멸균의 중요성 및 관리법 등으로 구성된다.
        4 세포생물학 연구
        Research of Cell Biology
        세포는 생명체의 기본단위이며, 피부미용은 사실상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현상을 연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생물학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구조와 기능 및 이에 따른 소기관들 종류 및 특성, 세포주기 및 대사, 유전 등으로 구성된다.
        5 기능성화장품요법(機能成化粧品療法)
        Functional Cosmetic Therapy
        화장품 중 기능성화장품은 피부에 멜라닌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다. 또한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 강한 햇볕을 방지하여 피부를 곱게 태워주는 기능, 모발의 색상을 변화(탈염(脫染)ㆍ탈색(脫色)을 포함한다)시키는 기능, 체모를 제거하는 기능, 탈모 증상의 완화에 도움,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건조함 등의 완화 및 튼살로 인한 붉은 선을 엷게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으로 이들의 구성과 특성 등으로 구성된다.
        6 피부미용치유 세미나
        Seminar of Skin and Beauty Therapy
        피부미용 치유를 위한 피부미용(피부와 관련한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 전반의 최신 토픽을 분석하고, 세미나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이 분야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7 미용영양학요법
        Skin Nutritional Therapy
        분자영양학요법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영양에 대하여 연구하는 식품의 종류, 조성 및 대사, 영양분의 부족 증상 및 대책, 영양소의 과잉에 따른 부작용 및 대사질환, 노화과정에 중요한 유전자와 영양과의 관련성에 대한 최신 정보의 전달과 요법으로 구성된다.
        8 뷰티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융합
        Fusion of Beauty Industry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의 혁명으로 뷰티산업분야에도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뷰티산업과 4차 산업과의 연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 등 4차 산업과 뷰티미용의 융합을 위한 전반으로 구성되며, 각종 피부진단시스템, 모발관리시스템, 헤어스타일링시스템, 안티에이징 아틀라스기반시스템 등의 뷰티산업과 4차 산업혁명의 융합 전반으로 구성된다.
        9 미용연구 및 분석론
        Research and Analysis of Beauty Arts
        피부미용분야(피부,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화장품, 아로마 등)의 연구를 위한 위한 절차, 논제선정, 내용, 주의사항과 미용관련 논문의 구성 및 체제, 서론, 이론적 배경, 결과 및 고찰, 결론, 참고문헌,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책 및 관련 논문 분석 등 창의적인 미용연구 및 논문 분석 전반으로 구성된다.
        10 모발과학 연구 
        Research of Hair Science
        인체생리학과 피부생리학을 바탕으로 모발의 발생, 모주기, 모발의 형태와 구조, 모발과 영양, 모발의 특성, 모발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손상 등 모발과학 전반으로 구성된다.
        11 두피·모발관리학 연구
        Research of Hair and Scalp Treatment
        두피·모발의 구조 및 특성, 두피의 종류 및 특성, 탈모의 원인, 탈모의 기작, 탈모의 종류 및 특성, 두피·탈모의 관리, 두피·모발의 관리, 관련 최신 정보 등 두피·모발관리학 전반으로 구성된다.
        12 인체생리학 연구 
        Research of Human Physiology
        인체 생리학은 인체의 각 계통을 현상론적으로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서 특히, 인체의 생리 대사에 따른 세포, 조직, 혈액, 순환계, 호흡계, 소화계, 운동계, 감각계, 자율신경계, 뇌의 기능, 내분비, 생식 등의 인체생리학 전반으로 구성된다.
        13 향기치유요법 연구 
        Research of Aroma Therapy
        다양한 식물에서 생산되는 식물의 생리활성물질과 향료는 인체의 피부미용 치유에 도움이 되며, 이에 따라 향기치유요법은 냄새와 향기, 후각시스템 특성, 향료의 특성, 정유의 추출방법 및 사용법, 정유의 성분 특성, 정유의 종류에 따른 치유특성, 정유의 블랜딩, 캐리어오일의 특성 및 정유의 적용 등 향기 치유요법 전반으로 구성된다.
        14 화장품학 연구 
        Research of Cosmetology
        21C 향장과학의 발전은 세상의 변화만큼이나 빠르게 진보되고 있으며, 화장품학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일은 필수라고 하겠다. 이 과목은 화장품학의 개요와 피부의 구조 및 생리, 화장품성분, 기초화장품, 기능성화장품, 메이크업화장품, 모발화장품, 방향화장품, 아로마테라피 및 기타 화장품 등으로 구성되고, 최신 화장품학 연구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연구 동향 전반으로 구성된다.
        15 화장품성분학 연구 
        Research of Cosmetic Ingredient
        화장품성분학은 화장의 목적, 화장품 성분 표기방법, 화장품 원료의 기준, 수성원료와 유성원료,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보습제, 금속이온 방지제, 방부제, 색조 등 화장품 구성 원료 특성 전반으로 구성된다.
        16 응용미생물학 연구
        Research of Applied Microbiology
        각종 인체 감염병의 원인이 되지만, 반대로 인류에게 많은 유익함을 주는 미생물의 일반적 특성과 배양, 생리, 대사, 유전, 감염질병 등의 전반과 각종 미생물에 의한 발효, 건강과 발효식품, 미생물과 효소, 유용미생물의 활용 등 피부미용학적 측면과 응용학적 측면으로 구성된다.
        17 미용토탈코디네이션 연구
        Research of Beauty Total-coordination
        현대의 경쟁사회에서는 자신을 표현하는 이미지메이킹이 중요하다. 머리에서 발 끝까지 개성있고, 세련되고 우아한 코디네이션은 자신감과 행복감을 가져다주므로 결국 활력적이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입고, 신고, 끼고, 쓰고, 걸치는 모든 것들이 사람의 체형, 얼굴형, 피부색 등 특성에 어울리는 토털 코디네이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결국 토탈코디네이션을 통한 활력적인 삶을 통해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더더욱 건강하게 하고자 한다.
        18 생명과학연구
        Research of Life Science
        피부미용치유를 위한 생명의 현상을 이해하고, 생명체의 구성 및 특성, 유지, 운동과 지지, 통합과 조정, 생식, 생리, 유전(DNA), 진화와 생태 등 생명현상 개론 전반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