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사일정
DONGBANG SCHEDULE
0602)3668-9800 admin@dongbang.ac.kr
학교대표전화 상담시간 09:00~18:00
1 |
불교일상의례연구(佛敎日常儀禮硏究) The study on daily rites of Buddhism |
사찰에서 자기완성과 타자교화를 위해 반복하는 예경(禮敬)과 송주(誦呪), 신불께 공양을 올리는 마지의 일과의례와 타자의 요청에 의해 수시로 다양한 전각에서 행해지는 헌공의식을 등을 연구한다. |
---|---|---|
2 |
불교통과의례연구(佛敎通過儀禮硏究) The study on passage rites of Buddhism |
불자가 되기 위한 삼귀오계를 받는 수계의례와 승려가 되면서 받는 사미계와 일정한 수행기간을 거친 후 받는 비구계, 사부대중이 함께 받는 범망경 보살계, 임종 이후에 받는 무상계 등의 통과의례와 여타 통과의례를 연구한다. |
3 |
불교상장례연구(佛敎喪葬禮硏究) The study on funeral rites of Buddhism |
죽음을 처리하는 의식에는 인간 감정과 사상의 결정체가 녹아 있다. 다비의식, 시달림으로 불리는 불교의 상·장례 문화의 기반을 탐색한다. |
4 |
불교무용연구(佛敎舞踊硏究) The study on ritual dances of Buddhism |
한국 불교의식에는 신불에게 공양을 올리는 다양한 무용행위가 이뤄지고 있다. 불교사상과 현장 분위기 고조를 위한 목적 등으로 행해지고 있는 법기를 사용한 무용과 특수한 복장을 착용하고 행하는 무용과 범패 등 중요한 의례를 연구한다. |
5 |
불교세시풍속연구(佛敎歲時風俗硏究) The study on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해온 불교의 세시풍속을 연구함으로써 불교가 민족문화를 어떻게 수용 발전하여 왔고 설행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아울러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민족문화 개발을 연구한다. |
6 |
불교영산재특강(佛敎靈山齋特講) Topics on Youngsan-jae(the ritual for representation of Buddha's sermon on Griddhakuta) |
본래의 의미와 상관없이 의식의 설행을 위해 음악의 범패와 무용의 춤, 다양한 장엄구가 등장하는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는 불교 영산재의 성립과 변천, 구조 및 특징을 분석한다. |
7 |
불교수륙재특강(佛敎水陸齋特講) Topics on Suryuk-jae(the ritual of offerings for all the forlorn wandering spirits) |
일체의 외로운 이들을 초청하여 소통하고 성인과 범부가 함께 함께 진리의 법식을 나눔으로써 하나가 되게 하며, 과거와 현대, 계층 간, 지역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륙재의 기본 사상과 설행 양상 등을 연구한다. |
8 |
불교예수재특강(佛敎預修齋特講) Topics on Yesu-jae(the ritual carried out in lifetime for perfect bliss after death) |
시왕사상이 발전하여 정착한 불교의 생전예수재에는 생전의 선업 닦기라는 윤리성과 사후에 타자의 의해 행해지는 의례를 자신이 직접 행한다는 독특한 성격이 있는데, 예수재에 함유된 윤리성과 종교성, 문예미학을 연구하고 탐색한다. |
9 |
불교의례문화론(佛敎儀禮文化論) The theory of Buddhist ritual culture |
인간은 의례적인 동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수행과 신행을 행하는 불교도들의 삶을 수행과 신행이라는 두 키워드를 통해 불교의례문화가 어떻게 성립되고 변용되며 소멸되고 정착되어 왔는지를 연구한다. |
10 |
조상숭배의례연구(祖上崇拜儀禮硏究) The study on Buddhist rites for ancestor worship |
인간 문화의 원천인 조상숭배의례는 제사로 대표되는데, 불교 제사의례인 영반과 일체 고혼들에게 음식 등을 베풀어 함께하는 대동의 문화를 구축한 시식(施食) 등을 연구한다. |
11 |
불교조상의례특강(佛敎造像儀禮特講) Topics on the rites involved with statuary-making |
불교의 예배 대상인 신상과 탑파 및 가사 등을 조상하면 불상에 물목들을 납입하는 복장의식과 생명력을 불어넣는 점안의식의 의례를 통해 신성성을 부여하는 조상의례에 대해 지역별 시기별로 연구한다. |
12 |
의례원전탐구 Ⅰ(儀禮原典探究 Ⅰ) The study of the ritual original text |
해당 사상의 실천체계인 의례는 원천사상과 그 실천이 담긴 청규 등에 토대하고 있으므로 의례문화의 이해와 연구능력 축적을 위해 의례 사상의 원천문헌을 탐구한다. |
13 |
불교장엄과 법기연구(佛敎莊嚴和法器硏究) The study on the ornamentation & objects of Buddhist ritual |
한국불교와 불교의식에는 다양한 장엄과 법기가 활용되고 있다. 불교의 전래를 통해 이입된 것도 있고 한국에서 생성된 것도 있다. 각 장엄의 의미와 특징, 법기의 유래와 활용, 그에 상응하는 각 의례의 특징과 미학을 연구한다. |
14 |
불교참법연구(佛敎懺法硏究) The study on the penitence rituals of Buddhism |
종교의 특징은 참회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제정한 법률에 의거하여 살아가는 현실 세계와 달리 종교는 유무형의 일체 행위까지 참회하는데, 참회는 서원을 한 불보살님의 역할이 전제된다. 참회의식은 특정 경론의 사상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하며 그 종교적 기능을 탐구한다. |
15 |
의례원전특강(儀禮原典特講) Special lecture in the Original Ritual Texts |
의례원전탐구 과목이 포괄적 관점에서 의례의 원형이 등장하는 제반 고전을 탐구하는 과목이라면 의례원전 특강은 의례의 원전이라고 할 수 있는 수륙재와 영산재의 원전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강의하여 의례의 구성과 사상을 이해한다. |
16 |
불교의례성립연구(佛敎儀禮成立硏究) Study on the Buddhist Ritual Establishment |
창조신을 인정하지 않은 불교에서 초월적인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성립되는 의례가 성립되게 된 배경과 각 의례들의 성립에 대해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개괄함으로써 종교의례가 어떻게 보편적 인류문화로 발전해왔는지를 탐구한다. |
17 |
한국불교의례사연구(韓國佛敎儀禮史硏究) Study on the Korean Buddhist Ritual History |
불교는 사변적이며 실천철학의 특성을 갖는 종교이지만 근본적으로 종교라는 형태로 세상을 교화하는데, 삼국시대 중반 한국에 전래된 불교의 의례에는 시대별로 어떠한 것들이 설행되었고 그 의미 및 목적 사회적 역할 등에 대해 탐구한다. |
18 |
한국근현대불교의례연구(韓國近現代佛敎儀禮硏究) Study o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Ritual |
포용적 열린 사고를 지향하는 불교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독특한 의례문화를 양상하고 있다. 선말한초 한국불교는 다대한 분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통의 의례문화가 분기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불교사의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근현대 한국불교 의례의 성립과 변용을 탐구한다. |
1 |
대승불교사상사(大乘佛敎思想史) The history of thought in Mahayana Buddhism |
대승불교의 사상적 전개는 다양하다. 중관, 유식, 여래장, 밀교 그리고 정토 등 여러 사상이 발생하고 전개하였다. 이들 사상의 구체적인 전개 역사를 공부한다. |
---|---|---|
2 |
대승불교경전연구(佛敎經典硏究) The Study on Buddhist Sutras |
다양한 대승경전에 특징과 사상에 대한 개론적 연구 |
3 |
한국불교사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
고구려 소수림왕 때인 372년에 전래된 한국불교는 1700여년의 장구한 역사 속에서 세계적인 사상과 문화를 창출했으며,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함양에 다대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에 한국불교사의 전개와 그 특징을 개설적으로 탐구한다. |
4 |
금강경연구(金剛經 硏究) The study on the Diamond Sutra |
반야 공의 대표적인 경전인 금강경 해석과 사상을 연구해 본다. |
5 |
불교윤리학연구(佛敎倫理學硏究) The study on Buddhist Ethics |
불교적인 입장에서 참된 자아를 확립하여 진정한 삶의 가치와 보람을 실현하며 살아갈 수 있는 법에 관한 윤리학적 연구를 한다. |
6 |
중국불교연구(中國佛敎硏究) The study on China Buddhism |
불교가 중국에 수용되는 과정과 인도적 불교가 중국적 불교로 발전해가는 과정을 추적하여 중국화 된 불교의 특색을 갖추게 되는 내용이다. |
7 |
삼국불교사상연구(三國佛敎思想 硏究) A Study on Buddhist Thought in Three States |
신라, 백제, 고구려, 통일신라시대에 구축된 불교사상의 특징과 문화, 사상적 배경에 대한 연구 |
8 |
고려불교사상연구(高麗佛敎思想 硏究) A Study on Buddhist Thought in Goryeo Dynasty |
고려시대에 구축된 화엄, 선, 정토, 천태 사상 등의 전개와 특징에 관한 연구 |
9 |
중국초기선종사상연구(中國 初期 禪宗思想 硏究) A Study on Zen-Buddhist Thought in the Early-China |
중국 선종의 발생과 전개, 초기 전래 시대의 사상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 등에 관한 연구 |
10 |
선전연구(禪典硏究) The study on the Zen Literature |
선불교 관련 원전을 공부하여 선사상을 이해해 본다. |
11 |
선사상연구(선思想硏究) A Study on Seon Thought |
대승불교의 실천적인 정신의 핵심인 불성사상과 반양공(空) 사상을 연구한다. |
12 |
중국중기선종사상연구(中國 中期 禪宗思想 硏究) A Study on Zen-Buddhist Thought in the Middle-China |
선종의 번영과 중국 전통사상과의 융합, 사상적 특징, 문화적 배경과 이후의 전개 등에 관한 연구 |
13 | 만해학(萬海學) | 만해학을 통해서 근대불교사상의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불교사학을 전공함으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만해 민족사상을 고양한다. |
14 | 근대개화기의불교사상특강 | 근대 불교개화기를 맞이하여 불교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이기도 하며 근대 불교사상을 통해서 불교의 역사성올 고찰해보는 연구이기도 하다. 유기홍 이후 박규수 오경석을 통하여 박규수의 영향 아래 있던 김옥균, 박영효, 박영교, 홍영식(洪英植), 서재필, 서광범(徐光範), 백춘배(白春培), 유길준, 오세창, 윤치호, 정병하(鄭秉夏), 이종원(李淙遠), 이정환(李鼎煥), 박제경(朴齊絅), 이동인(李東仁), 탁정식(卓挺植) 등의 청년들을 개화파라고 하는데 대부분 불교인들이었다. |
15 | 근대불교문화사특강 | 근대 불교문화사 특강 3에서는 불교승무 춤의 존재를 밝히는 연구이기도 하다. 특히 서역을 거처 중국에 전해진 불교가 한반도 가야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조선 현제 한국에 전해진 승무 춤의 전승의 역사연구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승무 춤은 불교의식에서 활용되었던 불교승무 춤이다. 한편 불교 춤을 비롯해 불교승무의 존재성을 논리적으로 찾아 그 근원을 밝히는 연구라고 말할 수 있다. |
16 |
법화경연구(法華經 硏究) The study on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
불교문예학과의 전공의 기초가 되는 법화경의 사상과 내용을 연구한다. |
17 |
조선불교사상연구(朝鮮佛敎思想硏究) A Study on Buddhist Thought in Joseon Dynasty |
조선시대 불교사상의 전개와 특징, 문화적 배경 등에 관한 연구 |
18 |
유마경연구 The study on the vimalakirti - Sutra |
원래의 이름은 維摩詰所說經 이다. 공사상과 대승보살사상을 절묘하게 융합시킨 경전이며, 동북아불교사상의 전개와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 경전의 사상적 특징과 영향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1 |
글쓰기와 심리치유 (詩創作 & 心理治癒) Writing Poetry & Psychological Healing |
심리적 외상과 감정의 격변에서 회복되기 위한 감정표현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함으로써 감정 해방을 통한 심리 안정과 치유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
---|---|---|
2 |
선시의 이해(禪詩의 理解) Understanding Seon Poetry |
동서양 선사들의 수행과 깨달음을 노래한 선시를 깊이 읽고 감상함으로써 그 속에 내재된 사상과 비유를 통한 시문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3 |
불교설화연구(佛敎說話硏究) Studies of Buddhist Narratives |
동서양의 비유와 설법의 보고인 불교설화를 연구함으로써 그 속에 내재된 붓다의 가르침과 지혜와 실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4 |
차명상 시 연구(茶 冥想詩 硏究) Study on Tea Meditation Poetry |
동서양의 주옥같은 다시(茶詩)를 깊이 읽음으로써 집중과 통찰을 높이고 마음정화와 비움의 사유를 통해 마음치유의 방법을 모색한다. |
5 |
사찰연기설화연구(寺刹緣起說話 硏究) Study on Tales of Temple Foundation |
불연(佛緣)에 의한 창사 계기를 담고 있는 다양한 설화를 연구함으로써 포교와 불교 사상을 이해하고 스토리텔링의 문화콘텐츠 방법을 모색한다. |
6 |
현대문학과 심리상담 (現代文學 & 心理相談) Contemporary Literature and Psychological Counselling |
다양한 현대문학에 내재된 심리 치유적 요소와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나눔과 배려, 관찰과 공감 기반의 상담기법을 연구한다. |
7 |
불교설화와 심리상담 활용 (佛敎說話&心理相談活用) Buddhist Folk-tales and Psychological Counselling Usage |
비유와 설법의 보고인 불교설화에 내재된 지혜와 자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눔과 배려, 관찰과 공감의 상담기법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
8 |
문학과 가족상담 (文學 & 家族相談) Literature and Family Counseling |
개인과 가족의 과거 경험에 의한 부정적인 이야기와 제한적 해석을 극복하고, 새롭고 보다 긍정적인 이야기를 재구성하도록 도움으로써 건강하고 새로운 삶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모색한다. |
9 |
사찰연기설화와 심리치유 (寺刹緣起說話 & 心理治癒) Temple-foundation Tales & Psychological Healing |
불연(佛緣)에 의한 창건된 사찰과 그에 관련 설화에 내재된 지혜와 실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의 존중, 공감과 배려, 나눔을 통한 치유상담 방법을 연구한다. |
10 |
이야기 치료 (敍事 治療) Narrative Therapy |
삶의 저변에 깔려 있는 문제 이야기를 통해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표현하고, 그것을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사유와 감정을 통해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구성하는 치유 방법을 연구한다. |
11 |
설화문학과 문화유산답사(說話文學과 文化遺産踏査) Korean Folktales and Cultural Heritage Survey I |
동서양의 다양한 설화문학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고 관련 문화유적답사를 통해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스토리텔링 함으로써 새로운 문화인식을 제고한다. |
12 |
문학과 숲명상치유상담 (文學&山林冥想治癒相談) Literature and Forest-Meditation Healing Counselling |
다양한 문학작품 속에 내재된 서정적 사유와 숲명상과의 조화로운 관계성을 이해하고 체험함으로써 욕구와 감정을 적절히 제어하는 방법과 느림과 비움 기반의 치유 상담방법을 모색한다. |
13 | 인류 문명과 불교음악 | 원시인의 음악 행위부터 메소포타미아·이집트·그리스·로마를 거쳐 유럽에 정착된 그레고리안찬트와 서양음악, 인도실크로드중국한국을 거쳐 일본에 형성된 동양문화 음악이 오늘날 월드 퓨전음악이 되기까지 동서고금의 다양한 음악을 현지 조사 자료와 함께 감상하고 토론한다. |
14 | 한·중·일 불교문화와 음악 | 한·중·일은 산스크리트와 한문을 토대로 하는 경전과 그로 인한 불교문화를 발전시켜왔다. 한중일 불교역사와 문화적 배경에 비추어 각 나라 불교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연구한다. |
15 | 한국 불교의례문화 콘텐츠 | 영산재, 수륙재, 예수재 등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특성을 21세기형 불교의례문화 콘텐츠로 만드는 작업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이뤄진 성과와 특징 및 방법론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앞으로 보완해야 할 점과 방향성을 탐구한다. |
16 | 한국불교범패성연구 | 한국의 전통음악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범패에는 대체로 안채비와 바깥채비로 구성되어 있는데, 안채비는 주로 이치적인 측면, 바깥채비는 사적인 측면에서 의식 전체의 진행을 선도하는 특징을 보이는 범패성을 연구한다. |
17 | 한국불교작법무연구 | 한국불교의례에는 의식의 형식을 이루는 춤이 발달하였는데 이를 작법무라고 지칭하며 바라무, 착복무, 타주무, 법고무가 있으며, 작법무는 해당 의식이 추구하는 내용을 몸짓으로 표현하는 것인데 이를 연구한다. |
18 | 한국불교 명상음악 콘텐츠 | 중국, 일본, 티베트, 몽고, 인도 등 아시아 불교 명상음악의 현황을 분석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비교 음악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불교명상음악의 실태를 파악하여 한국 불교명상음악의 비전과 방향성을 담론하고, 콘텐츠 작업을 시도ㆍ연구한다. |
1 |
불교심리학원론 Introduction to Psychology of Buddhism |
불교의 심리학적 이론과 서양에서 발달한 심리학의 주요 이론들을 비교‧분석하고, 불교이론을 심리치료에 적용하는 방법과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살펴본다. 또한, 불교의 이론을 심리학적으로 해석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토의와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
---|---|---|
2 |
심리상담과 명상 Psychotherapy and Meditation |
명상에 기반한 심리치료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명상의 심리학적 이해 및 심리치료적 원리에 대한 기본학습과 더불어, 명상을 상담이나 심리치료에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명상 심리치료 접근법들의 실제를 공부한다. 또한 명상 실습을 통하여 통찰명상과 집중명상의 균형을 유지하여 정혜쌍수의 조화를 체험한다. |
3 |
심리치료와 고급상담이론 Advanced Theories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현대 상담 및 심리치료의 제 기법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상담자에게 필요한 태도 및 핵심 기법들을 배움으로써 이를 실제 상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상담이론을 비교 분석하며 배우고 아동이나 청소년의 문제행동, 성인의 정신적인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구체적인 치료 전략을 계획하는 법을 배운다. 여러 가지 상담기법을 배움으로써 상담활동의 능력을 향상한다. |
4 |
가족상담이론 Theories and Methods of Family Therapy |
개인상담과는 다른 가족상담의 특성과 과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치료모델을 살펴본다. 가족 역동을 이해하며 특히 가족관계 속에서 생기는 주요 문제와 사건들을 관계의 관점에서 이해하여 상담의 목표와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역기능적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 기술, 가치들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둔다. |
5 |
고급발달심리학 Advanced Developmental Psychology |
발달이론 및 발달 심리학의 주요 주제들을 학습하고 어떤 양육환경 및 조건이 최적의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가를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한다.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 및 유전적 요인에 대한 이론을 배우고 발달심리학의 최근의 학계 동향과 관련 이슈들을 살펴본다. |
6 |
고급집단상담 및 심리치료 Advanced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집단상담의 다양한 형태들, 이론들, 집단상담 지도자의 자질 및 태도, 집단상담의 발달과정들의 주요개념들을 인지하고, 수업시간에 실제 집단상담을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기초적 기술을 익히고 특히 자기자각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집단상담 실제를 녹화한 시청각 자료를 통해 집단상담 실제의 감각을 익힌다. |
7 |
심리검사이론 및 실습 Theory and Practice of Psychological Assessment |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심리검사법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구성 및 특징을 배우고 실시방법 및 해석방법에 대하여 실습을 한다. 성격 및 정신병리에 대한 지식과 심리평가의 지식을 종합하여 심리학적 진단에 이르는 과정을 학습한다. |
8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Case Studies for Counselors and Psychotherapists |
전문상담사의 다양한 조건을 이해하고 구비하도록 상담실습을 통하여 배우며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국내외 사례들을 검토하며, 실제 상담현장에서 실습한 상담사례들을 지도한다. |
9 |
상담과 심리치료 윤리 Ethic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상담의 철학적 근거와 윤리 원칙들을 다루면서 상담자의 윤리의식을 함양하고, 상담현장에서 원활하고 안전한 상담을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운다. |
10 |
단기 및 위기상담 Crisis Intervention and Short-term Therapy |
현대심리상담의 주류를 이루는 단기상담의 여러 가지 접근법들과 특징들을 공부한다. 이와 함께 대표적 단기상담의 하나인 위기상담의 개입 목표와 과정, 개입기술 등을 배워서 다양한 상황의 상담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
11 |
의식, 영성, 자아초월 세미나 Consciousness, Spirituality, Transpersonal Psychology Seminar |
인간 의식에 관한 이해, 변화와 성장, 심리치료에서 의식의 작용, 서양심리학에서 말하는 영적성장(individuation)과 동양철학적인 깨달음, 건강한 자아와 불교의 무아론 등 의식과 영성에 관한 동서양의 다양한 주제들을 현대 심리학과 자아초월심리학적 차원에서 연구·토론 한다. |
12 |
중독개인상담 Addiction Treatment and Counseling |
약물 남용과 중독 질환의 신경생물학적인 이해, 중독 상담의 기초 이론과 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상담기법들에 대하여 학습하고 실습한다. |
13 |
정신역동 Psychodynamic Psychotherapy |
인간의 무의식적 동기 및 내면적 힘의 갈등을 다루는 다양한 정신역동 이론의 발전과정과 함께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적 관점을 배운다. 인간행동은 정신 내의 역동과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는 공통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는 정신분석, 분석심리학, 현대의 대상관계이론 의 심리학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주요 초점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
14 |
상담자교육 및 수퍼비젼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
실제 상담현장에서 실습한 상담사례들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상담자 기법을 익힌 후, 감독하의 실습을 통하여 전문상담자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전문상담자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점을 집중적으로 보완한다. |
15 |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Psycho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아동과 청소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정서, 행동적 문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전통적인 방법과 최신의 심리학적 치료 방법을 소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진다. 또한 예방적 측면에서 아동․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각종의 다양한 스트레스를 원인, 증상, 대처방안을 모색한다. |
16 |
고급인지치료 Advanced Cognitive Therapy |
인지적 관점에서 문제행동을 재구성하여 정서나 행동상 문제를 치료하는 심리치료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17 |
고급행동치료 Advanced Behavior Therapy |
행동주의 접근에 입각하여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행동주의 상담의 이론 및 실제를 심도 깊게 다루어 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
18 |
정신병리학 Psychopathology |
정신건강의 의미와 건강한 정신의 특성을 이해하고 정신질환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개념에 기반하여 정신질환의 임상적 특징, 진단기준, 발병원인과 치료법을 고찰하여 내담자를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한다. |
1 |
세계의 음식문화 Food Culture in the World |
동서양 문화권의 음식문화를 통한 각 문화권의 음식적 사유와 물질적 다양성 이해 |
---|---|---|
2 |
한국 음식의 문화적 이해 Cultural Understanding of Korean Food |
세시기 절식, 유교, 불교의 음식의례 등 세시풍속, 의례 등에 나타난 한국음식문화 이해 |
3 |
요리법과 식재료의 인문학적 이해 Humanities of Cooking and Foodstuffs |
남송시기 중국 요리법과 식재료의 기원과 변화를 역사적, 언어학적으로 고찰한다. |
4 |
한국 음식사 History of Korean Food |
삼국시대, 남북조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음식과 관련된 제 현상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
5 |
중국 음식사 History of Chinese Food |
동아시아 음식의 기원과 원류에 해당하는 중국음식문화의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음식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
6 |
일본 음식사 History of Japanese Food |
한국과 동일하게 중국음식문화의 영향이 지대했던 일본음식문화의 한국음식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
7 |
유럽 음식사 History of European Food |
현대 세계음식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럽 특히 르네상스 시기 이탈리아와 프랑스 혁명전후의 프랑스 음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 필수적이다. |
8 |
음식철학 Food Philosophy |
자연과 인간을 매개하는 음식에 대한 중국과 인도 고대철학의 시각과 범주들을 고찰한다. |
9 |
미식론 Theory of Gastronomy |
맛에 대한 감각적, 이성적 인식체계 고찰 |
10 |
소셜 미디어와 음식 Social media and Food |
시공간적 동시성과 시각성에 바탕한 감각적 음식문화를 선도하는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의 음식문화와 그 사회학적 고찰 |
11 |
한국불교음식사 History of Korean Monastic Cuisine |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한국 불교상가의 음식 정신문화와 물질문화 고찰 |
12 |
전좌교훈 Guide for Cook Monk in Zen Buddhism |
가마쿠라 시기 도겐선사에 의해 쓰여진 『전좌교훈』에 나타난 선불교의 음식철학, 음식을 대하는 수행자의 자세, 음식예법 등을 통해 현대에 요구되는 음식철학과 자세, 음식예법을 탐구한다. |
13 |
채식과 육식의 논쟁과 역사 History and Debate on Vegetarianism and Meat-Eating |
B.C. 7세기 인도 수행자 그룹의 육식 vs 채식 논쟁에서 19세기 영국 시인이자 사회운동가, 퍼시 비시 셀리의 채식주의 운동 그리고 현대 채식논의에 이르는, 인류사의 육채식 논쟁과 역사를 통해 음식, 동물권, 윤리적 섭생 등 현대 음식이슈들을 깊이 있게 파악한다. |
14 |
불교음식철학 Buddhist Food Philosophy |
초기경전들과 대승경전들을 통해 불교의 음식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내용을 학습한다. |
15 |
불교 요리법과 식재료의 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Cooking Method and Foodstuffs |
일반음식과 다른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불교의 요리법과 식재료를 역사적 언어적으로 이해한다. |
16 |
불교음식계율 The Precepts of Food in Buddhism |
음식과 관련된 불교계율을 학습함으로써 불교의 음식에 대한 시각의 특징과 사회적, 음식적 태도의 특성을 이해한다. |
17 |
불교음식명상 Buddhist Food Meditation |
Eating Mindfulness 수행방식을 통해 음식과 욕망에 대한 제어와 평정한 마음에 대해 학습한다. |
18 |
동아시아 세시기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Sesigi in East Asia |
동국세시기 등 한국 세시기를 중심에 두고 중국과 일본의 세시기를 비교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 음식과 관련 풍습을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