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사일정
DONGBANG SCHEDULE
0602)3668-9800 admin@dongbang.ac.kr
학교대표전화 상담시간 09:00~18:00
역사와 철학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개한 불교문화와
예술을 연구해 21세기 정보화시대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인도에서 성립한 불교는 중국을 거쳐 한국에 전래된 이래 민족의 역사와 흥망성쇠를 함께 하며 한민족의 문화를 창출했습니다. 이제 그 영향은 문화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민족의 심층의식 속에서 새로운 역사창조의 기틀이 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인류를 구원하고, 그들의 등불이 되고자 하는 불교문화는 복합적이며, 그러한 복합적인 성향 속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성립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역사와 철학이 존재합니다. 본 불교문예학과는 이러한 역사와 철학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개한 불교문화와 예술을 연구해 21세기 정보화시대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불교의 경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불교사상이 역사의 전개에 어떠한 모습으로 투영되었으며, 인류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사상체계를 수립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국,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서양 등 지역을 불문하고 시공의 제약을 넘어 연구의 폭을 확장하고자 한다.
문학을 통해 모든 존재의 연기적 생명을 이해하고 개인과 사회의 갈등 및 위기 문제를 상생의 관점에서 지혜롭게 극복함으로써 마음을 치유하고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도록 하는 문학상담치료전문가를 양성한다.
불교가 동서양으로 전파되어 토착화되고, 발전하는 과정 중에 각 지역의 감성 내지 환경과 소통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찬란한 예술의 세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하는 분야이다. 여기에는 전통의 범패, 단청, 건축, 회화, 조각 등 불교의례·예술과 유관한 것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지혜와 자애, 연민수행 등 불교명상에 기반을 두고 현대인들의 정신건강과 불건강에 정통한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과학적 경험적 실제적 역량을 지닌 상담전문가를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진실하고 유능한 상담가의 자질양성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깨달음, 수행을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 자연생태에 대한 이해와 깨달음을 돕는 다양한 불교/명상이론과 실습에 역점을 둔다.
현대 한국사회의 음식에 대한 점증하는 실용적, 학문적 요구에 부응하여 유럽과 북미의 현대 음식학(Food Studies)과 한국의 전통적 음식연구방식(고조리서 연구, 조선시대 음식연구) 등을 결합하여 음식실물과 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전문지식을 두루 갖춘 음식전문가 배출을 목적으로 한다.